티스토리 블로그 저품질 원인: 키워드 반복

Wookoa 2024. 12. 4.

티스토리 저품질 원인
티스토리 저품질 원인

머리말

  대한민국에서 포스팅을 하는 블로거라면 네이버의 검색 유입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일반적인 블로그라면 네이버 검색 유입이 과반수 이상이라 생각해도 과하지 않다. 하지만 자신의 블로그에 네이버 검색 유입을 유도하는 것은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하루 사이에도 같은 키워드로 발생되는 포스팅 개수는 헤아릴 수 없을 것이며, 그 포스팅 사이에 우선순위를 선별하는 과정 또한 공개되지 않기 때문이다. 홍보성 글이나 상위 노출만을 위한 단순하고 기계적인 포스팅은 네이버에서 정해진 로직에 따라 일명 저품질 블로그로 분류되며 포스팅된 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 제한에 걸리게 된다. 포털 검색으로부터 자신의 블로그가 노출 제한되는 상황에 대해 해당 포털에서는 피드백이 없으며 단지 악성 포스팅이라는 것이 그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많은 블로거들이 밝혀낸 양질의 실험 결과가 존재하며 정직하게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다면 네이버에게 오해 살 일 없도록 어느 정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포스팅에서는 본인이 경험한 네이버 검색 유입의 저품질 현상과 원인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한다.

  [+2021.02.21] 본 포스팅을 작성한 지 6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네이버 유입을 돌파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다 결국은 네이버 유입은 포기했다. 본인의 블로그는 IT 정보를 위주로 다루기 때문에 구글 유입으로도 충분하다 위안 삼았다. 그렇게 4년이라는 시간이 흐르고 블로그 공백기 2년을 포함해 6년이 흐른 시점에 본 포스팅을 보니 감회가 새롭다. 물론, 일부 결론도 성취할 수 있었다. 저품질 블로그에 탈출하기 위해선 시간이 약이라는 말이 떠오를 정도다. 심지어 본인은 네이버에 질려서 브라우저 기본 웹사이트를 다음 포털로 변경한 지 오래다.

  [+2024.04.20] 저품질이 걸리고 구글 유입으로만 연명하던 티스토리 블로그를 떠나보내고 있다. 현재는 구글 블로그스팟에 자리를 잡고 포스팅을 하나씩 옮겨 나르고 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떠나보내는 가장 큰 이유는 티스토리 측의 무단 광고 삽입이다. 덕분에 불편하고 어렵기만 하던 블로그스팟의 스킨을 3개월간 다듬으니 만족할만한 스킨을 완성하게 되었다. 어쩌다 보니 본 포스팅을 일기장처럼 작성하게 되었는데, 다음번엔 어떤 내용을 추가로 작성하게 될지 스스로를 궁금해하며 포스팅을 옮겨 담는다.

저품질 블로그 원인은 중복된 단어

  본 티스토리 블로그의 메인 주제는 IT 정보다. 주제와 관련된 양질의 포스팅을 지속적으로 발행해 왔다. 급격하게 성장해 가는 블로그를 보고 있으면 하루하루가 설레는 기분마저 들었다. 포스팅 개수는 약 20개 정도였으며 하루 평균 방문자는 200 명에 약간 못 미칠 때 큰 실수를 범하게 되었다. 카테고리에 대한 욕심을 이기지 못하고 물량 채우기식의 포스팅을 7개나 발행했다는 사실이다.

저품질 원인이 된 포스팅 7건
저품질 원인이 된 포스팅 7건

  그 몹쓸 포스팅은 바로 올바른 우리말에 대한 포스팅이다. 우리말에 대한 정확한 표현을 알아가면서 포스팅을 남기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포스팅 물량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 전락되었다. 그 결과 매우 짧은 글에 키워드 반복을 남발하게 되었다. 물론 올바른 우리말에 대한 포스팅이 블로그에 해롭다는 결론은 아니다. 비교적 매우 짧은 글에 메인 키워드가 남발되었던 포스팅은 결국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낙인이 찍혀버렸다. 원활하게 수집되던 블로그가 한순간에 수집 상태 : 알 수 없음으로 변경되었으며 모든 포스팅이 노출 제한에 걸리게 되었다.

수집상태 알 수 없음
수집상태 알 수 없음

  그나마 더 많은 포스팅이 자리 잡기 전에 문제를 빨리 인식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매일마다 검색 유입되는 포스팅을 체크했기에 빠른 대처가 가능했으며 문제가 되는 포스팅을 빠르게 식별할 수 있었다. 문제가 된 포스팅은 2015년 04월 04일에 발행되었다.

네이버 유입이 단절된 순간포착
네이버 유입이 단절된 순간포착

  해당일에 발생된 포스팅은 아래의 사진과 같다. 아래의 사진이 포스팅 본문에 포함된 텍스트의 전부이며 메인사진과 제목이 추가로 존재했다. 검색엔진에 따라 검색 결과에 랭킹 되는 기준이 다르겠지만, 포스팅이 상위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메인 키워드가 3회 이상은 본문에 언급돼야 유익하며 7회 이상은 위험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네이버 상위에 노출된 양질의 포스팅들은 키워드 반복이 무려 10회 이상인 포스팅도 허다했다. 조금 더 정확한 기준을 알고 싶어서, 3회 이상 7회 미만이라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닌 포스팅되는 본문 전체 텍스트 대비 반복되는 키워드 개수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실제 발행된 포스팅의 본문 텍스트
실제 발행된 포스팅의 본문 텍스트

  문제의 포스팅 제목은 올바른 우리말 표기법: 자그마치와 자그만치였으며 메인 키워드는 자그마치, 자그만치 였다. 해당 포스팅의 본문을 긁어서 아래한글을 통해 전체 글자의 수를 세어본 결과 총 248자였다. 사용된 낱말은 총 57개였고 반면에 메인 키워드는 총 11회 반복되었다. 다시 말해 57개 낱말을 사용하는 짧은 포스팅에서 메인 키워드가 11회나 반복되었으니 2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 포스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는 포스팅에 사용된 전체 단어 중 반복된 단어의 비율이 블로그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인의 결론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메인 키워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메인 키워드

  위에서 언급한 메인 키워드가 10회 이상 반복되어도 상위에 노출되는 포스팅들은 양과 질이 달랐다. 약 1,800자의 글자 수와 456개의 낱말의 사용했지만 반복된 키워드는 총 14회였으며 그 비율은 약 3%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블로그 방문자의 유입에 눈이 멀어 정성스럽게 작성된 포스팅을 쉽게 따라가려다 엎어진 꼴이다.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메인 키워드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메인 키워드

꼬리말

  위와 같이 본문의 텍스트 양과 키워드 반복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저품질 원인이 되는 키워드 반복은 절대적 수치로 판단하기 어려웠으며, 전체 본문의 텍스트 양에 비해 메인 키워드의 반복 횟수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과연 얼마만큼의 비율이 가장 적당 한 지에 대한 수치는 궁금하지 않았고 정확하게 알 수 없기에 언급하지 않는다. 이후 관련된 포스팅은 전부 비공개 처리했으며 해당 카테고리는 폐지함으로써 초동대처를 시작했다. 또한 지금까지 작성된 포스팅을 전부 검토했으며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를 통해 변경된 페이지에 대해 재 수집을 요청한 상태다. 결국 양질의 포스팅만이 블로그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다는 절대적인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꾸준한 양질의 포스팅으로 네이버 검색 유입을 차분히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이로써 본인이 직접 경험하고 분석한 블로그 저품질 현상에 대해 소개한 본 포스팅을 마무리 짓도록 한다.

인기있는 글

소중한 댓글 (0)